2013. 8. 27. 10:57
IT Mobile 동향
반응형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악성 응용프로그램(앱)이 점점 더 독해지고 있는 가운데 지워지지 않는 변종 앱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보안기업 이스트소프트는 최근 사기문자(스미싱)를 통해 유포되는 악성 앱 가운데 안드로이드의 취약점을 이용해 자신을 지울 수 없도록 한 변종이 다수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그 특징으로는
▲ 일단 설치되면 관리자 권한을 탈취
▲ 이를 이용해 기기 관리자의 목록 상에서 자기자신을 숨겨 삭제가 불가능하도록 함
▲ 모바일 백신을 설치하지 않은 이용자가 이 앱을 지우려면 출고당시의 상태로 돌려주는 ‘공장초기화’를 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사실상 없음
그러나 최근 안드로이드 백신들은 공장초기화를 하지 않고도 이와 같은 앱을 삭제가능하도록 기능을 구현했거나 기능을 추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무튼 수상한 메시지내의 URL을 클릭하지 않는게 최선입니다.
반응형
'IT Mobile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치매 자가 진단 (0) | 2013.08.27 |
---|---|
MDsoft, 스마트폰 공인인증서 보안앱 'MACS' 무료 배포 (0) | 2013.08.27 |
구글코리아, 2013년형 넥서스7 국내 출시 (1) | 2013.08.27 |
스마트폰의 고성능화 추이 언제까지 (0) | 2013.08.26 |
우분투 엣지, 기금모집액 부족으로 결국 출시 무산 (0) | 201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