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6. 22. 13:59
IT Mobile 동향
반응형
무심결에 문자에 딸려있는 링크를 클릭하는 순간 자기도 모르게 소액결제 스미싱이 된다니 조심해야할듯 합니다.
스마트폰 단말기 자체나 OS의 취약점을 노린 권한상승 악성코드는 백신에 잡히지 않는데, 스마트폰 내부의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높은 권한을 가진 악성코드는 애플리케이션(앱)인 백신이 인지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사이버전이나 정보전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고요. 악성코드를 통해 해커가 ‘최고 권한’을 얻으면 원격으로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어 사실상 해커의 스마트폰이 되는 셈이라고 하니 의심스러운 경우를 조심해야 합니다.
반응형
'IT Mobile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니가 공개한 스마트워치2 – NFC 기능 탑재 (0) | 2013.06.26 |
---|---|
'스마트 워치'의 첫 주자는 누구일까요? – 소니? 애플? (0) | 2013.06.22 |
무선충전방식중 Qi에 대한 정리 (0) | 2013.06.21 |
Onavo Insights사에서 발표한 글로벌 메시징앱 점유율 (0) | 2013.06.21 |
LTE 주파수 할당안 공개 - 5개 블록 경매에 부치는 제 5안 채택 유력시 KT에 유리 (0) | 2013.06.21 |